220V 가정용 벽면에 1구 콘센트를 2구 콘센트로 교체 설치 할 때 배선 방법, 접지전선 색깔 구분 방법
콘센트 접지 전선 색깔 구분 배선
가정에서 사용하는 벽면에 콘센트 뒤쪽에는 오른쪽 사진처럼 전기가 들어오는 전선 두 가닥과 접지 전선이 끼워져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콘센트 뒤쪽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은 피복 색깔로 역할 및 용도를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작업자의 작업 방식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체로 220V(볼트) 콘센트 뒤쪽에 연결된 전선은 전기가 들어오는 빨간색 전선과 검은색 전선이 있고 접지 전선 색깔은 노란색이나 초록록, 연두색 계통의 전선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콘센트 접지 전선은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꼭 필요하지만 간혹 접지 전선이 연결되어있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그런 경우 편법으로 접지 전선 역할 을 할 수 있도록 배선을 할 수도 있지만 가급적이면 전기 전문가의 진단을 받고 안전한 방향으로 판단을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구 콘센트 2구 콘센트 교체 설치 방법
- 누전차단기 내리기
- 콘센트 커버 분리
- 콘센트 고정 볼트 풀기
- 콘센트 뒤에 끼워진 전선 빼기
- 벽면에서 나온 전선을 교체할 콘센트에 끼우기
- 고정 볼트를 이용해 콘센트를 벽면에 고정
- 커버 닫기
위에 콘센트 교체 순서에서도 알 수 있듯 콘센트 교체방법 자체는 상당히 단순하지만 전기는 취급하기에 따라서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고 화재 등 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만큼 미심쩍은 부분이 없고 전체적으로 확신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전문가에게 문의 또는 작업을 요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플러그를 끼우는 구멍이 한 개인 1구 콘센트와 플러그를 끼우는 구멍이 두 개인 2구 콘센트 모두 떼거나 교체 설치하는 방법은 대체로 비슷합니다.
먼저 콘센트에 연결된 누전차단기를 내리고 헤어드라이어나 선풍기 같은 가전제품을 활용하여 해당 콘센트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고 작업해야 합니다.
가운데 사진처럼 콘센트 주변 틈에 일자드라이버를 끼우고 비틀어서 틈을 만들고 커버를 분리합니다.
콘센트 위아래 볼트를 모두 푼 다음 앞으로 당기면 오른쪽 사진처럼 전선이 연결된 상태로 콘센트가 벽면에서 분리됩니다.
위에 콘센트에는 벽면 위쪽에서 나온 세 가닥 전선이 끼워져 있습니다.
빨간색 전선과 검은색 전선은 누전차단기를 거쳐 전기가 들어오는 전선이며 초록색 전선을 접지전선입니다.
간혹 두 곳에서 세 가닥씩 여섯 가닥의 전선이 끼워져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에 콘센트는 벽면 안쪽 두 곳에서 세 가닥씩 여섯 가닥의 전선이 나왔으며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해당 콘센트는 2구 콘센트입니다.
가운데 사진처럼 세 가닥씩 나눠서 나와있는데 이중 한쪽은 누전차단기 쪽에 연결되어 전기가 들어오고 다른 한쪽 세 가닥 전선은 집안에 다른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누전차단기 쪽에서 들어온 전기가 해단 콘센트에 전기를 공급하고 이어진 전선을 통해 집안 다른 곳의 콘센트에 전기를 공급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콘센트를 교체할 때도 기존에 전선이 끼워진 것과 동일한 형태로 배선 작업을 해야 해당 콘센트에서 전기가 들어오고 이어진 다른 콘센트에도 전기가 들어가게 됩니다.
왼쪽 사진은 1구 콘센트의 배선 모습이며 오른쪽 사진은 2구 콘센트의 배선 모습입니다.
다만, 2구 콘센트도 왼쪽 사진처럼 배선이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1구 콘센트가 오른쪽 사진처럼 배선이 되어있을 수도 있습니다.
본래 벽속에 매립된 콘센트는 벽면에서 여섯 가닥 전선이 나와 있어도 색깔이 같은 전선끼리 하나로 묶고 각각 전선 한가닥을 연장선으로 연결하여 벽면에서는 여섯 가닥의 전선이 나왔지만 콘센트에는 세 가닥 전선만 끼우면 되는 방식이 콘센트에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한 배선 방식입니다.
집안의 전기 배선 상태는 집집마다 또는 작업한 작업자의 작업 방식에 따라서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앞서 설명드린 세 가지 형태로 배선된 경우가 많습니다.
콘센트를 교체할 때는 기존 콘센트의 배선 상태와 똑같은 형태로 새 콘센트에 배선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여섯 가닥의 전선을 끼워야 하는 형태의 콘센트는 기존 콘센트의 배선 상태를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사진을 찍어두고 참고해서 작업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콘센트에서 전선을 빼는 방법은 왼쪽 사진처럼 전선 옆에 버튼을 일자드라이버로 꾹 누른 상태에서 전선을 잡아당기면 오른쪽 사진처럼 빠집니다.
전선을 끼울 때는 위에 사진에서 처럼 구멍에 꾹 눌러서 끼우면 됩니다.
주의사항 : 전선을 콘센트에 끼울 때는 그냥 당겼을 때 저절로 빠지지 않도록 최대한 깊이 끼웁니다. 이때 전선을 완전히 끼웠는데도 피복이 벗겨진 구리 부분이 노출되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럴 경우에는 전선을 빼서 끝을 조금 잘라내고 다시 끼워서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왼쪽 사진 전선이 끼워진 콘센트의 배선대로 위쪽에는 초록색 접지선을 끼우고 바로 아래 양 옆에는 검은색과 빨간색 전선을 끼웠습니다.
만약 기존 콘센트 위아래 여섯 개 구멍에 여섯 가닥의 전선이 모두 끼워져 있다면 교체할 콘센트에도 같은 위치에 모두 옮겨서 끼웁니다.
교체 설치한 콘센트가 2구형 콘센트이지만 이렇게만 배선을 해도 두 개 콘센트에 모두 전기가 들어옵니다.
콘센트에 전선을 모두 끼운 다음 전선을 벽면 안쪽으로 잘 밀어 넣고 왼쪽 사진처럼 위아래 볼트를 이용해 벽면에 고정합니다.
앞서 언급했듯 전선이 상당히 억세기 때문에 마음대로 정리가 잘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억센 전선을 정리하기 위해 무리하게 힘을 줬을 때 끼워놓은 전선이 빠지거나 헐거워질 수 있기 때문에 천천히 정리해서 밀어 넣습니다.
참고로 집안에 콘센트 중에 1구 콘센트가 설치된 곳은 주로 에어컨이 설치되는 위치 주변인 경우가 많습니다.
에어컨은 전기 사용량이 많은 가전제품이기 때문에 2구 콘센트로 교체 설치 했더라도 전기 사용량이 많은 전기난로 같은 제품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하지만 선풍기나 전등처럼 전기 소비량이 많지 않은 제품을 끼워서 콘센트 허용 전류 이하로 사용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겠습니다.
전등 스위치 교체 위치 바꾸는 방법 공통선 찾기
집안 거실 전등 스위치의 위치를 바꾸는 방법, 스위치 교체방법 공통선만 찾으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전등 스위치 교체 방법누전차단기 내리기스위치 커버를 떼어내기고정 볼트를 모두 풀고
yb4living.com
주방 LED 전등 설치 브래킷 천장 지지대 위치
주방 천장 조명 전등 기다란 모양의 LED 전등 설치 방법, 석고보드 천장에 전등을 고정하는 브래킷 지지대 위치석고보드 천장에 LED 전등 고정을 위한 천장 지지대 위치주택이나 사무실 상가 등
yb4living.com
욕실 화장실 전등 전구 빼는 법 매립등 교체
화장실 욕실 벽면에 전등 교체 방법, 천장에 매립등 빼는 법욕실이나 화장실에는 천장이나 벽면에 조명등 전등이 있습니다.벽면에 전등은 대체로 노출된 형태로 되어 있고 천장에 전등은 천장
yb4living.com
'집 수리 DIY 셀프 교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크대 수도꼭지 교체 원홀수전 구멍 크기 (2) | 2025.08.12 |
---|---|
욕실 화장실 전등 전구 빼는 법 매립등 교체 (4) | 2025.08.08 |
수건걸이 휴지걸이 교체 못 구멍 안맞을 때 (4) | 2025.08.05 |
Btv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연결 해제 스마트폰 리모컨 (5) | 2025.08.03 |
Btv 멀티뷰 설정 사용법 여러 채널을 동시에 보는 법 (4) | 202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