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무실 벽에 쓰지 않는 전화단자 콘센트 막는 방법
집이나 사무실 벽면에 쓰지 않는 케이블 TV 단자, 전화단자, 콘센트 막는 방법
저희는 아파트는 지은 지 20년 가까이 된 구형 아파트로 방마다 쓰지 않는 전화 단자와 케이블티브이 단자가 있습니다.
설치한 지 20년 가까이 돼서 단자 커버가 변색되고 일부는 떨어져서 없어진 것도 있습니다.
같은 용도의 새 단자로 교체하면 깨끗하고 보기도 좋겠지만 오래전부터 사용하지 않고 있고 앞으로도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장치가 달려있지 않는 커버로 교체 정리했습니다.
벽면단자 떼는 방법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는 용도는 각각 다르지만 떼거나 고정하는 방식은 거의 동일합니다.
벽면의 단자는 커버를 먼저 떼어내야 하는데 커버 아래쪽이나 주변에 작은 틈이 있습니다.
그 틈에 얇을 일자드라이버 같은 걸 끼워서 살짝 벌린 다음 뜯어내듯 당기면 커버가 열립니다.
전화 단자나 케이블 TV 단자, 인터넷 단자는 전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바로 작업을 해도 되지만 콘센트처럼 전기가 흐르는 단자를 정리할 때는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내리고 작업을 해야 합니다.
커버를 분리하면 단자를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가 나옵니다.
고정 볼트는 위아래 두 개씩 있습니다.
각각 바깥쪽 볼트는 커버를 끼우는 브래킷을 고정하는 볼트이고 안쪽 볼트가 장치를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입니다.
장치를 벽면에서 떼려면 위아래 안쪽 볼트를 풀어야 합니다.
오른쪽 사진은 전화 단자를 뗀 모습입니다.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화 단자는 뒷면에 전화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언제부터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이 전화단자 뒷면에는 전선이 모두 끊어져 있었습니다.
만약 전화선이 연결되어 있다면 단자 뒷면에 볼트를 풀어서 전선을 분리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면 공구를 이용해 전선을 잘라내도 됩니다.
위에 사진은 현제 쓰고 있지 않는 케이블 TV 단자입니다.
위아래 고정 볼트를 완전히 풀고 앞으로 당겨 벽면에서 떼어냈습니다.
이 케이블 TV 단자에는 케이블이 한 개가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위의 너트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고 케이블을 아래로 당기면 빠집니다.
간혹 케이블이 2개 이상 연결된 경우도 있는데 모두 같은 방법으로 분리하면 됩니다.
케이블 TV 케이블 역시 니퍼나 펜치 같은 공구로 잘라낼 수 있지만 생각보다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너트를 풀어서 분리하는 것이 편합니다.
무늬 없는 벽면 단자 커버 교체 설치 방법
저는 전화 단자와 케이블 TV 단자를 떼어 냈고 앞으로도 사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장치가 달려있지 않는 밋밋한 디자인의 커버를 준비했습니다.
만약 기존 용도대로 단자를 사용하려면 같은 장치가 달려있는 단자로 준비하고 전선 또는 케이블을 연결하면 되겠습니다.
먼저 커버와 브래킷을 분리한 다음 가운데 사진처럼 커버를 먼저 벽면에 고정합니다.
저는 고정 볼트가 구성품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만약 고정 볼트가 없다면 기존에 끼워져 있던 볼트를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브래킷을 고정할 때 수직 수평을 잘 맞춰서 고정해야 커버를 닫았을 때도 조금 더 보기가 좋습니다.
제품에 따라서 브래킷의 위아래 구분이 있는 경우도 있고 커버의 위아래 구분이 있는 경우도 있으니 브래킷과 커버 주변의 그림이나 기호를 잘 살펴보고 거기에 맞춰 고정합니다.
브래킷을 고정한 후에 커버를 방향에 맞춰 올리고 위아래를 툭툭 쳐서 끼우면 됩니다.
앞서 떼어낸 두 개의 단자 모두 같은 방법으로 장치가 달려있지 않은 민무늬 단자 커버로 교체했습니다.
전체적으로 그럭저럭 만족스럽기는 하지만 단자 커버를 주문할 때 조금 얇은 커버를 준비했다면 조금 더 나았을 것으로 생각되고 벽지 색깔과 비슷한 것이 조금 더 깔끔해 보일 듯합니다.
단자 커버가 훼손된 경우에는 미관상 아주 보기 좋지 않을 경우도 있고 특히 평소에 사용하지 않고 앞으로도 사용하지 않는 단자라면 이런 방식으로 정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합니다.
가운데 사진은 집 근처 생활용품점에서 구한 콘센트 마개입니다.
어린아이들에게는 콘센트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만큼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오른쪽 사진처럼 막아두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