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수리 DIY 셀프 교체

비디오폰 자가 설치 아날로그 디지털 방식

내집내손 2025. 7. 29. 19:34
반응형

오래된 아파트 인터폰을 아날로그 방식 비디오폰으로 직접 교체 설치 방법, 디지털 방식 차이 구분방법

비디오폰경비실 교환기

비디오폰 아날로그 방식 디지털 방식 구분

아파트 현관문 옆에 설치한 초인종 겸용 카메라를 통해 집안에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ㄴ비디오폰은 몇 가지 기준을 적용해 구분합니다.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고 4선식 비디오폰과 2선식 비디오폰이 있습니다.

디지털 방식 비디오폰

  • 아파트 1층 공동 현관 인터폰의 숫자 패드에서 세대 호수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눌러서 통화하는 방식
  • 경비실에서도 숫자 패드로 세대 호수를 눌러 통화하는 방식

아날로그 방식 비디오폰

  • 아파트 1층 공동 출입구 현관에서 세대 호수가 표시된 버튼을 눌러 통화하는 방식
  • 경비실 교환기가 위에 오른쪽 사진처럼 각 세대마다 연결된 스위치 또는 잭을 끼워서 통화하는 방식

1층 공동 출입구에 인터폰이 없거나 경비실과 통화를 하지 않고 현관과 집안 사이에서만 사용한다면 두 가지 방식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1층 현관 공동 출입구 또는 경비실과 통화를 해야 할 경우 공동 현관과 경비실에 설치된 장비와 호환이 되지 않는 것도 있으니 사전에 판매처에 확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2선식 비디오폰과 4선식 비디오폰

2선식 초인종2선식 인터폰

2선식 비디오폰과 4선식 비디오폰은 거실 모니터와 현관문 옆 카메라 겸용 초인종 사이에 연결되는 선의 개수로 구분합니다.

왼쪽 사진처럼 현관 초인종에 선이 두 가닥 연결되어 있는 것은 2선식입니다.

오른쪽 사진은 실내 거실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으로 뒤에 네 가닥 선이 연결되어 있지만 빨간색 두 가닥 전선만 현관문 옆 초인종에 연결되어 있는 2선식 인터폰입니다.

참고로 인터폰에 연결된 파란색 전선은 경비실과 연결된 전선입니다.

다만, 설치되어 있는 장치에 전선이 두 가닥만 연결되어 있더라도 사용하지 않는 여분이 전선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으며 여유 전선이 두 가닥 이상이라면 기존에 2선식 장치가 달려있다고 하더라도 4선식 비디오폰으로 교체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제가 알아본 2선식 비디오폰은 4선식 비디오폰에 비해 종류가 훨씬 적었으며 가격도 훨씬 높았습니다.

다행히 저희 집에는 2선식 인터폰이 달려있었지만 사용하지 않는 여분의 전선 두 가닥이 있어서 4선식 비디오폰으로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

4선식 비디오폰 설치 방법(아날로그 방식)

  1. 현관문 옆 초인종 떼어내기
  2. 실내 인터폰 떼기
  3. 네 가닥 전선 구분하기(전선 색깔이 각각 다른 경우 제외)
  4. 현관문 옆에 카메라 겸용 초인종 설치하기
  5. 인터폰에 연결되어 있던 전선을 비디오폰 잭에 연결
  6. 비디오폰 브래킷 고정
  7. 비디오폰에 잭과 전원을 연결하고 벽면에 고정

네 가닥 전선의 색깔이 모두 같거나 전석을 각각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을 때 전선을 구분하는 방법은 설치 과정에서 정리하겠습니다.

초인종 고정볼트 푸는 모습초인종 떼는 모습전선에 꼬리표 단 모습

현관문 초인종을 떼는 방법은 제품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저희 초인종은 왼쪽 사진처럼 초인종 아래 볼트를 완전히 풀고 앞으로 당기면 가운데 사진처럼 초인종이 떨어집니다.

초인종에 연결된 두 가닥 전선을 분리하고 변 안쪽에 돌돌 말려있던 파란색 전선 두 가닥을 밖으로 꺼냈습니다.

전선 끝에 피복을 약 1cm 정도 벗기고 빨간색 전선에는 1번과 2번, 파란색 전선에는 3번과 4번 꼬리표를 붙였습니다.

인터폰 뗀 모습인터폰 배선 모습비디오폰 4가닥 전선

저희 거실에 인터폰은 위로 살짝 밀어 올리면 왼쪽 사진처럼 벽면에서 떨어집니다.

가운데 사진에 빨간색 전선 두 가닥은 현관문 옆 초인종에 연결된 전선이고 아래 연결된 파란색 두 가닥은 경비실로 연결된 전선입니다.(인터폰 뒷면 단자 옆에 배선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현관 초인종에 연결된 빨간색 전선 두 가닥과 벽면 안쪽에 돌돌 말려있던 파란색 전선 두 가닥을 밖으로 꺼내고 오른쪽 사진처럼 피복을 1cm 정도 벗겼습니다.

주의사항 : 인터폰에는 벽면에서 나온 전원 전선이 연결되어 있거나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우는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됩니다.

그 전원 전선 역시 비디오폰에 연결해야 하는데 플러그 방식이 아닌 전선끼리 바로 연결된 방식이라면 전원 전선을 분리할 때 누전차단기를 내리고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모든 배선을 마친 다음 가장 마지막에 전원 전선을 연결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단선테스터 만드는 모습단선 테스터 만들기전선 구분하는 도구 만드는 모습

4선식 비디폰의 네 가닥 전선은 모두 각각 구분해서 연결해야 합니다.

저희는 두 가닥씩 같은 색깔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구분하는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이렇게 전선을 구분할 때는 '부저단선테스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저는 당장 그것이 없어서 집에 렌턴을 가지고 전선을 구분하는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렌턴 외에 건전지가 들어가는 모든 제품은 활용할 수 있습니다.

30cm 정도 길의 전선 두 가닥을 준비하고 전선 양쪽 끝에 피복을 약 1cm 정도 벗깁니다.

왼쪽 사진처럼 건전지 하나를 빼서 마이너스 극에 전선을 끝을 밀착시키고 절연 테이프로 고정했습니다.

다른 전선 하나는 가운데 사진처럼 마이너스 단자에 묶고 오른쪽 사진처럼 건전지를 끼웁니다.

랜턴 단선 테스터

그렇게 건전지를 끼워놓은 상태에서는 랜턴 스위치를 켜도 불이 켜지지 않지만 위에 사진처럼 전선 두 가닥 끝을 연결하면 불이 켜집니다.

부저 단선 테스터는 부저 소리를 가지고 단선 여부를 확인하지만 제가 만든 것은 랜턴에 불치 켜지는지 여부를 가지고 단선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전선 연결한 모습단선테스터 사용 모습전선 구분 완료

왼쪽 사진은 앞서 꼬리표를 달아놓은 현관문 옆 전선으로 사진에서 처럼 1번과 3번 전선을 서로 연결해 놨습니다.

그리고 가운데 사진처럼 랜턴 단선테스터를 사용해서 불이 켜지는 전선을 찾습니다.

오른쪽 사진처럼 불이 켜진 전선 중 빨간색 전선은 1번이 되고 파란색 전선은 3번이 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빨간색 전선이 2번, 나머지 파란색 전선이 4번 전선이 됩니다.

반응형

저는 한 번에 네 가닥 전선을 모두 구분했지만 만약 네 가닥 전선이 모두 같은 색깔이라면 똑같은 방법으로 한 번 더 테스트를 하면 됩니다.

카메라 브래킷 설치카메라 겸용 초인종 배선 단자카메라 겸 초인종 배선 연결 모습

현관에 달려있던 초인종 브래킷을 떼어내고 왼쪽 사진처럼 새 초인종 겸 카메라의 브래킷을 설치했습니다.

가운데 사진처럼 카메라 뒷면에는 네 개의 단자가 있고 각각 1번부터 4번까지 표시가 있습니다.

오른쪽 사진처럼 앞서 전선을 구분해 놓은 전선 번호와 초인종 카메라 단자의 번호를 맞춰 연결합니다.

그리고 전선을 벽면으로 잘 밀어 넣고 초인종 겸용 카메라를 벽면에 고정합니다.

비디오폰 구성품배선 연결 방법

제가 설치한 비디오폰은 벽면에서 나온 전선 및 전원을 모두 잭에 연결해서 비디오폰 단자에 끼워야 합니다.

배선 연결 방법은 설명서에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네가닥 전선 연결 모습경비실 통화 연결 전선전원 전선

앞서 구분한 네 가닥 전선을 연결하는 잭은 네 가지 색깔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고 설명서에 각 색깔의 번호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먼저 왼쪽사진처럼 현관 카메라 초인종과 연결되는 네 가닥 전선을 번호에 맞춰 연결했습니다.

가운데 사진은 경비실과 연결되는 전선으로 앞서 인터폰에 연결되어 있던 경비실 전선을 그대로 잭에 연결된 전선과 연결했습니다.

오른쪽 사진은 전원 잭을 연결한 모습으로 벽면에서 나온 전선과 전원 잭에 연결된 전선을 연결한 모습입니다.

브래킷 고정비디오폰 잭 연결 모습비디오폰 잭 연결 완료 모습

전선을 모두 연결한 다음 벽면에 달려있던 기존 브래킷을 떼어내고 비디오폰에 끼워져 있던 브래킷을 분리해서 벽면에 고정합니다.

이때 수평이 잘 맞도록 설치해야 보기 좋겠죠?

브래킷을 고정한 다음 전선 끝에 잭을 비디오폰 뒷면 단자에 끼웁니다.

단자 위치는 배선도에 설명되어 있으며 잭을 끼우는 방향은 가운데 사진처럼 잭의 돌기와 단자의 홈을 맞춰서 최대한 깊이 끼우면 됩니다.

오른쪽 사진은 현관 초인종 카메라와 경비실, 전원잭까지 모두 연결한 모습입니다.

저희는 1층 공동 현관에 인터폰이 없습니다.

비디오폰 테스트비디오폰 설치 완료 모습

잭을 모두 연결한 다음 비디오폰 전원을 켜고 현관에서 초인종을 눌러 작동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테스트에서 이상이 없어서 전선을 벽면 안쪽으로 잘 정리해서 밀어 넣고 모니터를 벽면 브래킷에 고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