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풍 심한 곳 보일러 실온 온돌 가스비 절약 방법
단열 상태가 나쁘고 외풍이 심한 곳에서 보일러 실온 온돌 난방 방식 중 난방비 가스비를 절약하는 방법과 실온 모드 온돌 모드에 대한 오해와 진실


보일러 원리, 실온 온돌 차이
보일러 난방 방식은 대체로 실온(실내 온도) 모드와 온돌 모드가 있고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부가 기능으로 예약 기능이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겨울철이 되면 난방비 가스비 절약 방법을 찾기 위해서 보일러 난방 방식에 대해 알아보시기도 하는데요 보일러 난방 원리를 알면 난방비 가스비 절약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 자칫 오해할 수 있는 내용들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보일러 난방 원리
보일러를 켜서 난방을 하면 보일러 본체와 방바닥 배관에 들어 있는 물(난방수)을 따뜻하게 만들어 방바닥 배관으로 순환시켜 방바닥을 따뜻하게 만들고 방바닥의 따뜻한 온기로 실내를 따뜻하게 만듭니다.
보일러가 실내를 따뜻하게 난방하는 원리는 대부분 알고 계실 겁니다.
실온 모드와 온돌 모드 동일한 원리로 난방을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보일러 실온난방 방식과 온돌 난방 방식 차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문 아래에 글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보일러 실온 난방 방식과 온돌 난방 방식 중에서 가스비가 덜 나올까?'입니다.
그런데 앞서 말씀드린 대로 실온 난방과 온돌 난방 방식의 난방 원리는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집, 같은 날씨에서 실내 온도를 같은 수준으로 올리고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가스비는 실온과 온돌 방식이 거의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조건에서 난방을 해서 실내 온도를 23도로 올리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가스비는 온돌 방식과 실온 방식이 동일합니다.
다만, 실온 모드에서는 컨트롤러에서 23도로 맞춰 놓으면 보일러가 실내 온도를 23도가 되도록 난방수 온도와 가동 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지만, 온돌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실내 온도를 23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난방수 온도와 보일러 난방 가동 여부를 수시로 변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온돌 모드에서 난방수 온도를 60도로 가동해서 실내 온도로 23도로 올렸는데 이후로도 계속해서 난방을 하면 실내 온도가 23도보다 높게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난방수 온도를 내리거나 보일러 난방을 멈추는 등 조작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실내 기온이 떨어지기 전에 다시 적당한 난방수 온도로 설정해서 다시 가동해야 합니다.
또한 같은 난방수 온도로 난방을 하더라도 해가 뜬 맑은 날 낮에는 외부 기온이 올라가서 실내 기온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올라가고 외부 기온이 떨어지는 밤이나 새벽에는 실내 기온도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서 난방수 온도와 난방 가동 여부를 수시로 바꿔서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 보일러 난방은 실온 난방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실온 난방 방식이 적합하지 않은 곳에서 대안으로 온돌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난방하는 목적에 따라서 실온보다는 온돌 모드가 적합한 곳도 있습니다.
보일러 실온 모드는 가스비가 많이 나올까?
간혹 보일러 실온 모드는 가스비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온돌 모드로 사용해야 한다고 알고 계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일러 실온 난방 방식은 보일러를 가동해 방바닥을 따뜻하게 만들고 그 온기로 실내 기온을 설정 온도까지 올리고 그 온도를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단열 상태가 나빠서 외부로 열을 많이 뺏기거나 환기를 자주 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실내 기온이 금방 떨어지고 보일러는 그만큼 자주 가동하게 됩니다.
물론 보일러가 가동하는 만큼 가스비는 많이 소비하게 됩니다.
심지어 단열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곳에서는 방바닥의 온기 만으로는 실내 기온을 설정 온도까지 끌어올리지 못해서 보일러가 멈추지 않고 계속 가동하고 난방비 가스비도 폭탄 수준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온돌 난방 방식은 실내 온도와 무관하게 난방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해서 순환시킵니다.
설정 온도로 난방수를 데우고 방바닥 배관으로 순환시켜 따뜻해진 방바닥의 온기로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것입니다.
난방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아니라 보일러와 배관의 물을 그대로 계속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기온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습니다.
보일러 온돌 난방 방식은 난방수 온도가 떨어졌을 때만 버너가 켜져서 가스를 소비하기 때문에 앞서 실온 난방 방식에 비해 가스비가 덜 나오게 됩니다.
물론 실내 기온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외부 기온과 환기 빈도에 따라서 큰 폭으로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보일러 실온 모드에서 가스비가 많이 나온다는 말이나 보일러 온돌 모드가 난방비 절약 방법이라고 말하는 부분에는 단열 상태나 난방 목적 등 몇 가지 조건이 따라가야 합니다.
단열 상태가 좋고 환기 횟수가 많지 않다면 보일러 실온 모드로 사용할 때와 온돌 모드로 사용할 때 가스비가 비슷하지만 외풍이 심하거나 환기를 자주 해야 하는 곳에서는 온돌 모드로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어린 아이나 고령의 어르신들이 생활하는 곳에서는 실내 기온이 많이 떨어지거나 과도하게 올라가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단열 용품을 활용해서 단열 상태를 보완하고 실내 공기를 데워줄 수 있는 소형 온풍기 등 난방기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실온 모드로 난방을 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보일러 난방을 해도 방바닥이 차가울 때
보일러 실온 모드나 온돌 모드 모두 방바닥에 배관으로 난방수를 순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난방을 하면 방바닥이 따뜻하게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장시간 보일러를 가동해도 방바닥이 따뜻해지지 않는다면 원인을 찾아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보일러를 켜도 방바닥이 따뜻해지지 않는 원인은 다양한데 아래 세 가지 원인이 비교적 흔히 발생하는 원인입니다.
- 보일러 난방수가 부족하거나 배관에 공기가 찼을 때
- 배관에 불순물이 많이 쌓였거나 노후되어 난방수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때
- 보일러 순환펌프에 문제가 있을 때
배관에 에어가 찼다는 표현은 난방수가 순환해야 하는 배관에 공기가 찼다는 것으로 공기 때문에 펌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난방수의 온기가 배관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방바닥에 온기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보일러 본체에 물 보충 기능을 이용해서 물을 보충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시로 물을 보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배관에 구멍이 생겼거나 파열되어 난방수가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는 상황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배관에 불순물이 많이 쌓여 순환에 지장을 주눈 정도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배관을 청소하거나 배관을 교체하는 공사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보일러 순환펌프는 물을 순환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방바닥에 온기가 없어집니다.
순환펌프는 보일러 수명에 영향을 주는 장치로 오래된 보일러에서 자주 고장 나는 부품 중 하나입니다.
순환펌프는 보일러 제조사에 AS 신청을 하면 교체나 수리가 가능합니다.
난방비 절약 방법 24평 아파트 10평 원룸 가스비 차이
24평형 아파트 전체와 10평 원룸 크기 방 한 개를 난방할 때 보일러 가스소비량 난방비 가스비 차이, 방 거실 난방 차단하는 방법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면 보일러 난방비 가스비 절약 방법을 찾
yb4living.com
보일러 예약 기능 사용법 외출 가스비
보일러 난방 편의 기능 예약기능 사용법, 집을 비울 때 사용하는 외출 기능 사용방법과 대략적인 가스비보일러 예약기능보일러에 따라서 난방 방식이나 부가기능이 조금씩 다르고 사용법도 조
yb4living.com
보일러 실온 온돌 차이 적정온도 가스비
보일러 실온(실내 온도) 난방과 온돌 난방 방식 차이 적당한 실내 기온과 난방수 정적온도, 대략적인 가스비 비교보일러 실온 모드와 온돌 모드보일러의 난방 방식은 제품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yb4livi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