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수리 DIY 셀프 교체

화장실 욕실 천장 환풍기 교체 구멍 크기

내집내손 2025. 9. 28. 10:41
반응형

화장실 욕실에 오래된 환풍기 교체 설치 방법, 환풍기 배관 구멍 크기

환풍기 설치하는 모습댐퍼 일체형 환풍기 설치 모습화장실 환풍기 배관

화장실 욕실 천장이나 벽면에는 대부분 환풍기가 있습니다.

위에 사진은 모두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의 모습으로 환풍기가 노후되어 흡입력이 크게 떨어지거나 작동하지 않은 경우 새 환풍기로 교체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환풍기 냄새 역류 방지를 위한 댐퍼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본문 끝에 글이 있습니다.

특수하게 제작된 독특한 환풍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화장실 욕실 환풍기는 떼거나 교체 설치하는 방법이 대부분 비슷하고 대체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환풍기 제품을 주문해서 직접 교체 설치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저도 직접 환풍기를 주문해서 직접 교체를 했는데요 환풍기를 선택할 때 미리 확인해야 하는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화장실 욕실 환풍기 선택 주의사항

환풍기 설치 구멍환풍기가 설치된 곳

환풍기 교체를 위해 새 환풍기를 선택할 때는 몇 가지 규격을 확인해야 합니다.

첫 번째는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천장이나 벽면에 구멍 크기를 확인해야 합니다.

천장에 구멍이 작을 경우 확장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넓은 구멍을 작게 만드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상당히 많습니다.

또한 작은 구멍을 넓히는 것도 간단한 작업은 아닌 경우가 많고 장비가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기존에 구멍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환풍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화장실 환풍기 설치에 필요한 구멍의 모양은 대부분 정사각형으로 제품에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13~18cm 경우가 많고 일부 제품의 경우 한 변의 길이가 20~25cm인 것도 있습니다.

특히 전동 댐퍼 같은 장치가 붙어있는 환풍기를 선택할 때 조금 더 신경 써서 확인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제품 규격이나 타공 크기는 판매처의 설치 안내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화장실 천장 구멍화장실 욕실 천장 구멍

환풍기가 설치된 구멍의 크기나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확인하는 것은 위와 같이 천장에 뚫려있는 구멍을 통해서 확인할 수도 있으며 환풍기를 떼서 확인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화장실 욕실 천장 구멍은 덮개를 그냥 밀어 올리면 열리는 방식이 있고 간단한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에 위로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곳도 있습니다.

환풍기 설치 모양환풍기 설치 상태

왼쪽 사진에 환풍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천장에 고정되어 있어서 구멍을 넓혀야 할 경우 톱으로 잘라내면 되는데 생각보다 잘 잘리지 않고 자세도 불편해서 쉽지 않더군요

오른쪽 사진에 환풍기는 석고보드 천장에 고정되어 있고 석고보드 천장은 커터칼로 쉽게 잘리기 때문에 구멍을 넓히는 것도 상대적으로 쉽지만 사진처럼 구멍 테두리에 나무 지지대를 설치해야 환풍기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이 없는 사람은 지지대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습니다.

두 번째로 확인해야 하는 것은 환풍기에 연결되는 배관의 지름 규격입니다.

일반 주택의 욕실 천장 환풍기 배관은 지름 100mm의 플렉시블 덕트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간혹 이보다 큰 지름의 배관이 사용된 곳도 있습니다.

환풍기 배관 연결 상태환풍기 배관 연결하는 곳

위에 사진에서 처럼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진 자바라 형태의 배관이 환풍기에 연결되어 있고 반대쪽은 벽면 배관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기존 배관에 연결할 수 있는 규격의 환풍기를 선택하는 것이 편한데 만약 부득이하게 다른 규격의 환풍기를 설치해야 한다면 배관 연결에 사용할 연결 배관 부품을 함께 준비해야 합니다.

배관은 떼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벽면에 끼워진 배관을 빼고 새 배관을 끼우는 것이 매우 불편한 형태로 되어 있거나 천장을 내리기 전에는 작업이 불가능한 곳도 있으니 충분히 확인한 후에 배관 교체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환풍기 전원잭환풍기 전원 콘센트

세 번째로 확인해야 하는 것은 환풍기에 연결된 전원 연결 방식입니다.

왼쪽 사진에 환풍기의 전원은 잭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환풍기 구성품에 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오른쪽 사진에 환풍기는 플러그 방식으로 되어 있지만 콘센트는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품 구성품을 살펴보고 콘센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별도로 주문을 해야 합니다.

만약 기존에 달려있던 환풍기와 새로 교체할 환풍기 모두 플러그 방식이라면 콘센트를 따로 준비할 필요는 없겠죠?

일부 환풍기는 전선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도 있으며 환풍기에 연결된 콘센트를 잘라내고 전선끼리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만, 전선끼리 직접 연결하거나 콘센트 또는 잭을 전선에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내리고 작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욕실 화장실 환풍기 떼는 법

환풍기 커버 여는 모습환풍기 커버 열린 상태

환풍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가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커버를 열어야 고정 볼트가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풍기 커버를 여는 방법은 제품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왼쪽 사진처럼 얇은 공구를 끼워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서 열거나 커버를 손으로 잡고 아래로 그냥 당기면 열리는 두 가지 방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환풍기 고정 볼트 위치환풍기 내린 모습

환풍기 커버를 열면 왼쪽 사진처럼 고정 볼트가 나오고 고정 볼트를 모두 풀면 오른쪽 사진처럼 환풍기가 아래로 내려옵니다.

환풍기를 아래로 내릴 때 뒤에 연결된 배관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서 천천히 아래로 내리고 연결된 전선도 잘 정리해서 아래로 내립니다.

만약 모서리나 날카로운 부분에 배관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겼을 때는 파손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은박테이프를 이용해 보수해도 됩니다.

환풍기 전원 분리환풍기 배관 연결 상태환풍기 분리 모습

저희 환풍기 전원은 잭으로 되어 있으며 왼쪽 사진처럼 잭을 분리했습니다.

환풍기에 연결된 배관은 케이블 타이로 고정되어 있었으며 케이블 타이를 잘라내고 오른쪽 사진처럼 배관에서 환풍기를 분리하면 됩니다.

화장실 환풍기 교체 설치 방법

환풍기 콘센트 연결 모습콘센트 설치 상태

새로 설치할 환풍기는 플러그 방식이기 때문에 콘센트를 설치해야 했습니다.

누전차단기를 내리고 기존에 달려있던 잭을 잘라낸 다음 위에 사진처럼 콘센트를 설치했습니다.

왼쪽 사진처럼 배관이 아래로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는 콘센트를 천장 위로 올릴 수 없었습니다.

오른쪽 사진처럼 배관을 천장 위로 밀어 올려놓고 콘센트에 환풍기 플러그를 끼우고 천장 위로 올려놓은 다음 앞서 올려놓은 배관을 아래로 내렸습니다.

환풍기 배관 연결 모습환풍기 고정 모습환풍기 설치 완료 모습

왼쪽 사진처럼 환풍기에 배관을 연결하고 구성품에 들어있던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고정했습니다.

배관과 전선을 잘 정리해서 천장 위로 밀어 올린 다음 환풍기를 천장에 밀착시키고 가운데 사진처럼 고정 볼트를 이용해 고정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른쪽 사진처럼 환풍기 커버를 닫으면 화장실 환풍기 교체 설치가 완료됩니다.

환풍기 흡입력 테스트

환풍기를 설치한 후 스위치를 켜서 작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참고로 환풍기를 켜놓은 상태에서 휴지 한 칸을 환풍기에 가까이 가져갔을 때 위에 사진처럼 환풍기 쪽으로 빨려 들어가서 붙어 있으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화장실 냄새 역류 방지 댐퍼 환풍기 연결 설치

욕실 화장실 환풍기 냄새 역류로 불편할 때 환풍기에 역류방지 댐퍼 연결 설치 방법환풍기 역류 방지 댐퍼 선택 방법화장실 욕실에는 환풍기가 달려있고 아파트 빌라 등 공동 주택에는 환기 배

yb4living.com

 

세면대 구멍 마개 이름 자동 팝업 교체

화장실 세면대 물이 빠지는 구멍에 끼우는 커버 마개 이름과 배수관에 연결되는 팝업마개를 자동팝업으로 교체 방법세면대 구멍 마개 이름 오버플로우 홀일반적으로 화장실 욕실 세면대에는

yb4living.com

 

수건걸이 휴지걸이 교체 못 구멍 안맞을 때

욕실 화장실 수건걸이 휴지걸이 비누받침 등을 교체할 때 벽에 못 구멍이 맞지 않을 때 설치 방법화장실 욕실 벽에 설치되어 있는 휴지걸이나 수건걸이 컵받침 비누받침은 위에 사진에 있는 것

yb4livi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