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타공 도어록 교체 설치방법 현관문 주키타입
오래된 보조기 도어록과 현관문 손잡이를 떼고 주키타입의 무타공 푸시풀 도어록 자가 설치
현관문 보조키 도어록 손잡이 떼는 법
가운데 사진과 오른쪽 사진은 기존 보조키 도어록과 손잡이의 모습입니다.
그런데 보조키 디지털 도어록 달린 현관문에 보강판이 있는 건 저는 처음 봤습니다.
전에 사시던 분이 필요에 의해 설치했겠지만 저도 집에 쓰지 않는 보강판이 있었기 때문에 도어록을 교체 설치하면서 보강판도 함께 교체할 계획입니다.
다만, 차차 설명드리겠지만 보강판은 교체하지 못했고 마음만 엄청 심란해졌습니다.
달려있는 보조키 도어록의 건전지 커버를 열고 건전지를 뺀 다음 도어록을 열림 상태로 만들고 눈에 보이는 고정볼트를 모두 풀었습니다.
이 도어록에는 건전지 커버 안족 외에도 가운데 사진처럼 옆면에도 두 개의 고정볼트가 있었습니다.
저는 도어록 정면에서 보이는 볼트만 풀면 실내 장치가 떨어지는 줄 알고 있었고 정면에서 보이는 볼트 세 개를 모두 풀었는데 떨어지지 않아서 잠깐 당황했습니다.
고정 볼트 다섯 개를 모두 풀면 실내 장치가 떨어지고 뒷면에 끼워진 잭을 분리하면 오른쪽 사진처럼 실내 장치가 현관문에서 완전히 떨어집니다.
왼쪽 사진처럼 실외 도어록에 연결된 케이블을 한 손으로 잡고 가운데 사진처럼 고정볼트 세 개를 풀었습니다.
실내에서 실외 고정 볼트를 모두 풀면 도어록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 케이블을 잡고 볼트를 풀었는데 만약 사용한 지 오래된 도어록이라면 현관문에 붙어서 오히려 잘 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행히 저희 도어록은 오른쪽 사진처럼 쉽게 빠졌습니다.
마지막으로 현관문에 붙어있는 설치보강판과 문틀에 있는 부품의 고정 볼트를 모두 풀어서 오른쪽 사진처럼 현관문에 달려있던 보조키 도어록을 완전히 떼어냈습니다.
주키 방식이 아닌 보조키 도어록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본문 하단에 글이 있습니다.
현관문 실내 쪽 손잡이에는 왼쪽 사진처럼 두 개의 고정 볼트가 있고 고정 볼트를 완전히 풀면 실내 손잡이와 실외 손잡이 모두 떨어집니다.
이때 볼트를 모두 풀면 실외 손잡이가 밖으로 빠져서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으니 마지막 볼트를 풀 때 가운데 사진처럼 바깥 손잡이를 잡고 풀어줍니다.
손잡이까지 모두 떼면 보강판도 함께 떨어집니다.
보강판을 뗐더니 위에 사진처럼 생각지도 못했던 흔적이 있었습니다.
보조키 도어록이 설치되어 있는데 보강판이 왜 필요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현관문이 이렇게 된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이전에 사용하던 사람이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물을 열 방법이 없는 상태에서 강제로 도어록을 해체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실 해체라기보다는 문과 도어록을 모두 망가뜨려서 떼어낸 것처럼 보이네요.
아무튼 가운데 사진 화살표가 가리키는 볼트를 모두 풀고 걸쇠 장치를 빼냈더니 오른쪽 사진처럼 안팎으로 큰 구멍이 있었습니다.
제가 새로 설치할 도어록은 현관문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는 무타공 도어록인데 이럴 줄 알았으면 굳이 무타공 도어록을 선택할 필요는 없었을 것 같습니다.
또한 구멍의 크기가 크고 구멍 위치의 범위가 넓어서 제가 준비한 보강판으로는 다 가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강철 보강판을 그대로 다시 사용했습니다.
현관문 무타공 도어록 설치방법
제가 새로 설치할 도어록은 손잡이를 밀고 당기는 푸시풀 타입의 도어록으로 현관문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던 구멍 외에 지름 32mm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는 무타공 방식의 도어록입니다.
먼저 왼쪽 사진처럼 기존에 달렸던 문틀의 부품을 떼어내고 새로 설치할 도어록의 문틀 부품을 고정했습니다.
가운데 사진처럼 플라스틱 부품을 안쪽에 먼저 끼워야 하는데 위아래 방향 구분이 있으며 방향에 맞춰 끼우고 오른쪽 사진처럼 커버를 올린 다음 위아래 고정볼트로 고정하면 됩니다.
위에 사진은 문 옆면에 들어가는 부품으로 모티스라도 되어 있습니다.
모티스는 위아래 구분이 있고 위아래 방향을 맞춰 끼웠을 때 걸쇠의 깎인 부분이 문틀을 향해야 합니다.
만약 걸쇠 방향이 맞지 않는다면 바꿔야 하는데 해당 도어록의 경우 파란색 보호필름이 있는 커버를 들어 올리면 오른쪽 사진처럼 걸쇠가 빠지며 방향을 돌려서 끼운 다음 커버를 부품 위에 다시 올리면 됩니다.
왼쪽 사진처럼 현관문 옆면에 모티스를 끼우고 위아래 전용 볼트를 끼워 고정합니다.
이때 모티스에 연결된 전선은 실내 방향으로 빼놓습니다.
가운데 사진에 금속 막대 부품은 핸들 시프트이며 옆에 부품은 핸들시프트를 고정하는 클립니다.
핸들시프트 역시 안쪽과 바깥쪽 구분이 있으며 해당 핸들시프트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최대한 깊이 끼웁니다.
그리고 오른쪽 사진처럼 핸들시프트의 작은 구멍에 클립을 끼워 빠지지 않게 고정합니다.
이때 핸들시프트를 고정하는 클립을 실수로 떨어뜨려서 문 안쪽으로 들어가면 빼낼 방법이 없고 대체 부품이 없다면 문제가 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서 끼웁니다.
왼쪽 사진처럼 실외 쪽에 보강판을 대고 기 위에 도어록을 끼웠습니다.
실외 도어록은 제대로 끼워지면 가벼운 충격에는 빠지지 않지만 실내 쪽에서 볼트로 고정할 때 밀려서 빠지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합니다.
실내 도어록 뒷면에는 설치 보강판이 있으며 가운데 사진처럼 도어록에서 분리합니다.
그리고 오른쪽 사진처럼 설치 보강판을 현관문에 밀착시키고 가운데 볼트 두 개를 이용해 실외 도어록을 고정합니다.
설치보강판을 현관문에 밀착시킬 때 모티스에 연결된 전선과 실외 쪽 도어록에 연결된 전선은 보강판 구멍으로 통과시켜서 빼냅니다.
설치 보강판을 현관문에 올리면 왼쪽 사진 화살표가 가리키는 것처럼 가운데 부분이 현관문에서 살짝 떨어집니다.
볼트를 조이면 오른쪽 사진처럼 설치보강판이 현관문에 밀착되는데 이때 너무 강한 힘으로 조이면 도어록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고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지지대가 전체적으로 현관문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금 더 조여주는 정도 힘으로 고정합니다.
모티스와 실외 도어록에 연결된 전선 끝에는 잭이 있으며 왼쪽 사진처럼 각각 다른 색깔에 띠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실내 도어록에도 같은 색깔의 소켓과 띠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오른쪽 사진처럼 잭의 색깔과 띠의 위치에 맞춰 최대한 깊이 끼웁니다.
도어록에 연결된 전선이 밖으로 삐져나오지 ㅇ낳게 적당히 정리를 하고 왼쪽 사진처럼 설치보강판 위에 밀착시킵니다.
그리고 위아래 각각 두 개의 볼트를 조여 도어록을 고정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건전지를 끼우고 건전지 커버와 설명서에 내용을 참고하여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태그키를 등록했습니다.
처음에 현관문 상태를 보고 좀 걱정이 됐지만 작동은 정상적으로 잘 되고 있습니다.
단독 주택 패션문 현관문 도어록 자가설치
단독 주택 패션문 현관문 주키 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셀프 자가 설치 가능하기는 하지만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위에 현관문은 단독주택의 현관문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 방화문 현
yb4living.com
현관문 보조키 떼는 법 도어록 설치 방법
현관문 방화문 열쇠 방식 보조키 떼는 법과 디지털 도어록 설치 방법집 현관문에는 문 손잡이와 함께 보조 잠금장치를 설치하기도 합니다.보조 잠금장치는 아래에 사진처럼 열쇠를 이용해 열고
yb4living.com
비디오폰 자가 설치 아날로그 디지털 방식
오래된 아파트 인터폰을 아날로그 방식 비디오폰으로 직접 교체 설치 방법, 디지털 방식 차이 구분방법비디오폰 아날로그 방식 디지털 방식 구분아파트 현관문 옆에 설치한 초인종 겸용 카메라
yb4living.com
현관문 스토퍼 안전고리 흔들릴 때 교체 방법
방화문 현관문에 달려있는 스토퍼, 안전고리가 흔들리고 덜렁 거릴 때 고정 방법 및 교체 설치 방법현관문에는 저절로 닫히지 않도록 잡아줄 때 사용하는 스토퍼와 오른쪽 사진처럼 안전고리가
yb4living.com